본문 바로가기

약용식물82

땅두릅(독활)의 효능 그리고 재배방법 땅두릅은 '독활'이라고도 하며 진통제, 발한, 풍열, 감기, 유종, 건위제로 사용되는 약제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독활은 흔히 땅두릅나무라고도 불리며, 두릅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분포하는 두릅속 식물을 보면 독활과 두릅나무가 있으며 땅두릅나무는 독활과는 전혀 다른식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독활을 땅두릅나무 또는 뫼두릅나무로 수재하고 있어, 이를 잘못 따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바로 잡아야 합니다. 중국과 일본은 각각 다른 식물 기원을 수재하고 있는데 중국에서는 중치모당귀를 일본에서 독활을 수재하고 있습니다. 독활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고 향기가 좋습니다. 줄기는 장대하여 가지가 갈라졌고 높이는 1.5m 이상으로 잎은 2회 3출 하였으며 깃꼴겹잎(작은잎 여러장이 잎자루의 약쪽으.. 2023. 2. 16.
민들레의 효능 민들레는 국화과로 여러해살이풀로 전국 각지에서 분포하는데, 들판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며, 경남 의령과 강원도 양구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꽃이 흰색이 토종이고 노란색이 외래종입니다. 키는 30cm정도로 자라며 원줄기 없이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집니다. 잎의 길이는 6~15cm, 너비는 1.2~5cm이고 뾰족합니다. 잎몸은 무 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갈래는 6~8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노란색으로 4~5월에 잎과 같은 길이의 꽃줄기 위에서 피는데 지름은 3~7cm입니다.(서양민들레는 3~9월에 핍니다.) 열매는 5~6월경에 검은색 종자가 달리는데 종자에는 하얀색이나 은색 날개같은 깃털이 붙어 있습니다. 종자는 공처럼 둥글게 안쪽에 뭉쳐 있는데 이것이 바람에 날려 사방.. 2023. 2. 15.
도라지의 효능과 재배방법 도라지는 길경이라고도 부르며 동남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40~100cm이고 줄기는 하나 또는 여러개가 나 있습니다. 뿌리는 굵고 길게 자라는데 자르면 흰빛의 즙액이 나옵니다. 어긋나는 잎은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길이 3~6cm 정도의 긴 달걀 모양으로 표면은 녹색, 뒷면은 청회색이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나 있습니다. 꽃은 7~8월에 보라색과 백색으로 개화하여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려 있습니다. 달걀형이 열매는 삭과로 꽃받침 조각이 달린채 익습니다. 종자는 검은 빛으로 길이는 3~4mm정도가 됩니다. 깊이가 있는 상자나 분에 심어두면 매년 채취가 가능하며 줄기가 무성하게 퍼지지 않아 가정에서 분화재배가 가능합니다. 식용과 약용뿐만 아니라 아이들과 .. 2023. 2. 10.
황기의 효능과 재배방법 그리고 황기차 만드는 방법 황기는 「대한약전」에 따르면 콩과의 다년생 초본인 황기(Astragalus) membranceus Bunge)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를 기원으로 합니다. 자생지는 중국의 북동, 북, 북서 지역 및 몽골과 한국입니다. 중국에서 황기로 함께 통용되는 몽고황기나 내몽고황기는 황기의 변족으로 분류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단서삼불휘'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같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인 고삼(너삼)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면서 너삼의 맛이 매우 쓴데 반하여 황기의 경우에는 단맛이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약용으로 사용된 역사는 2000년 이상으로 매우 길며, 최초의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등재된 본초입니다. 생약명 또한 황기라고 하여 단너삼 '기(芪)자를 쓰는데, 중국에서는 황기라 하여 늙은이 '기(耆.. 2023.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