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용식물13

참느릅나무의 효능과 재배방법 참느릅나무의 껍질을 유백피라고 하며 종기, 항암, 치통, 치료하는 약용식물입니다. 참느릅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표고 50~1,100m에 주로 분포하며 특히 경기 이남의 냇가 근처에 생육하고 습기가 많은 계곡이나 하천변 등에서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낙엽활엽교목인 참느릅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10m 전후이며 줄기는 직립하고 작은 가지에 약간의 털이 있으며, 나무의 껍질은 홍갈색으로 두꺼우며 잘게 갈라집니다. 잎은 길이 3~5cm로, 타원형 혹은 타원상 도란형에 약간 두텁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나와 있습니다. 잎 전면은 반들거리고 윤기가 있고 짙은 녹색이며 잎 뒷면은 어린 잎으로 털이 있으나 차츰 떨어지고 담녹색에 잎자루는 짧고 턱잎은 좁고 일찍 떨어져 버립니다. 8~9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 꽃이 잎.. 2023. 2. 26.
엉겅퀴의 효능과 재배방법 엉겅퀴는 풀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년생 초본으로 초장은 1m정도이고, 뿌리는 키에 비해 짧은 편으로 전체에 흰 털이 나 있으며, 깃털 모양의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거친 톱니와 가시가 있습니다. 잎 뒷면에 흰 솜털이 나 있고 줄기와 가지끝에 수술과 암술로만 이루어진 꽃이 한 송이씩 핍니다.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는 것이 특색입니다.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홍자색 꽃을 피우는 자생력이 강한 식물로 꽃이 피는 여름에 들길을 걸을 때 정겨움을 더해 줍니다. 재배방법 엉겅퀴는 실생법(일반식물이나 농작물을 씨로 번식시키는 방법)이나 분주법(포기 나누기)으로 재배하게 되며 전국 어디에서나 잘 자랍니다. 토질은 그다지 가리지 않으나 비배관리(거름을 잘뿌려 토지를 걸게 하여 식물을 가꿈)를 잘하여 크게.. 2023. 2. 20.
황기의 효능과 재배방법 그리고 황기차 만드는 방법 황기는 「대한약전」에 따르면 콩과의 다년생 초본인 황기(Astragalus) membranceus Bunge)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를 기원으로 합니다. 자생지는 중국의 북동, 북, 북서 지역 및 몽골과 한국입니다. 중국에서 황기로 함께 통용되는 몽고황기나 내몽고황기는 황기의 변족으로 분류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단서삼불휘'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같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인 고삼(너삼)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면서 너삼의 맛이 매우 쓴데 반하여 황기의 경우에는 단맛이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약용으로 사용된 역사는 2000년 이상으로 매우 길며, 최초의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등재된 본초입니다. 생약명 또한 황기라고 하여 단너삼 '기(芪)자를 쓰는데, 중국에서는 황기라 하여 늙은이 '기(耆.. 2023. 2. 9.
당귀의 재배방법과 효능 그리고 용법 당귀는 대표적인 약용식물로 '실전약초재배'에서 기록한 내용에 따르면 동양 3국에서 각국의 공정서에 수재된 '당귀'라는 한약재를 각각 기원이 다른 종의 식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당귀[A.sinessis(Oliv.)Diels]를 기원식물로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참당귀(Aagelicagigas Nakai)를 많이 사용하여 왔는데 이는 값비싼 중국당귀 대신 가난하고 굶주린 환자들을 사랑하는 마음에 중국당귀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자생약초를 찾아낸 결과로 보입니다. 참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2~3년생 방향성 초본식물로 줄기는 짙은 녹색을 띠고 1~1.5m정도 곧게 자랍니다. 잎은 삼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3개로 갈라지며 다시 2~3개로 갈라집니다. 근생엽은 정상엽보다 크고.. 2023.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