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82 송이버섯 효능과 섭취시 주의사항 송이의 갓은 지름이 5~25cm 인데 초기에는 공 모양으로 가장자리 안쪽으로 말리다가 성장하면서 편평하게 펴집니다. 갓은 섬유상 막질의 내피막으로 싸여 있습니다. 갓 표면은 옅은 황색 바탕에 황갈색, 절갈색의 섬유상 인피 또는 누운 섬유상 인피가 있으며, 성장하면 종종 바큇살 모양으로 갈라져 하얀 조직이 나오기도 합니다. 주름살은 대에 홈주름살이고 약간 치밀하며, 힌색이지만 성장하면서 갈색 얼룩이 집니다. 송이는 주로 소나무 숲의 땅바가에 흩어져 나거나 무리지어 균륜 형태로 발생하게 됩니다. 성질은 평범하고 맛은 단 맛이 납니다. 송이의 성분 조단백질 15.6%, 조지방 6.3%, 수용성 무질소물질 62.6%, 조섬유 8.8%, 회분 6%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글루코스(glucose)만으로 이루어진 다앙.. 2023. 1. 10. 싸리버섯의 효능과 약용법 싸리버섯은 우리나라,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에서 분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을철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혼합림에서 무리지어 나거나 홀로 8월 중순부터 10월 말에 발생합니다. 싸리버섯은 버섯 갓 형태가 산호모양 또는 싸리 빗자루와 비슷하게 생겨 붙여진 이름입니다. 싸리버섯 갓의 가지 끝을 보면 쥐의 다리 끝과 아주 흡사하여 쥐버섯, 뒷다리버섯이라고도 부릅니다. 가지의 끝부분에서도 작은 가닥이 있고 여기에 포자(씨앗)가 생깁니다. 또한 3~5cm의 굵은 흰자루 위에 싸리비 모양의 가지를 치고, 끝부분은 많은 가지가 모여 담홍색에서 담자색의 꽃양배추 모양이 됩니다. 싸리버섯 갓의 살은 흰색으로 차 있고 육질이며 잘 부스러집니다. 싸리버섯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송이싸리버섯, 참싸리버섯.. 2023. 1. 7. 결명자의 효능 그리고 재배방법 결명자는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라는 뜻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결명자(Senna tora), 결명(Cassia obtusifolia)의 씨를 사용하며, 가을에 씨가 여문 다음 줄기째로 베어 말린 후 씨를 털어 모으게 됩니다. 결명자는 북아메리카 원산지의 일년초로서 줄기는 곧게 가지를 치면서 키는 1~1.5m로 자라고 온 몸에 잔털이 나 있습니다. 잎은 3~4쌍의 겹꽃잎으로 되어 있는데, 소엽은 달걀꼴이고 끝이 뭉툭하며 7~8월에 노란색의 나비 모양의 작은 꽃이 핍니다. 꽃은 황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2송이 정도 피며 꽃잎은 5장으로 긴 달걀 모양처럼 생겼습니다. 꽃이 진 다음, 가늘고 긴 강낭콩 모양으로 굽은 콩 꼬투리가 10cm 정도의 길이로 생기는데, 그 속에는 황갈색으로 육각형 모양을 한 종자.. 2023. 1. 4. 하수오 재배방법과 그 효능은 무엇인가? 하수오는 자양강장, 보혈강장, 정력증강, 신경통완화, 변비 등에 치료되는 약재입니다. 하수오(何首烏)는 [대한약전외 한양규격집]에 따르면 마디풀과(polygonaceac)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인 하수오(Pleuroplerus multiflorus Turcz)의 덩이뿌리(괴근)를 기원으로 합니다. 생약명은 하수오라고 하여 자양강장, 보혈강장, 정력증강에 강력한 효과가 있는 생약재로 사용합니다. 하수오는 덩굴성 초본으로 뿌리는 괴근을 형성하고 줄기는 덩굴로 뻗어 나가며 길이는 2~5m에 달하기도 합니다. 잎은 난상 심장형에 서로 어긋나며 잎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꽃은 원추화서로 8~9월에 백색 또는 미백색으로 피고 열매는 세모진 난형에 10~11월경에 결실합니다. 한방에서 하수오는 생약.. 2022. 12. 29. 이전 1 ··· 16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